제7장 트랜잭션 매니저

내용 목차

7.1. 개요
7.1.1. 애플리케이션
7.1.2. JEUS 트랜잭션 매니저
7.1.3. 리소스 매니저
7.2.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 설정
7.2.1. Worker Thread Pool 설정
7.2.2. 타임아웃 설정
7.2.3. Root Coordinator와 Sub Coordinator 관련 설정
7.2.4. 트랜잭션 Join 설정
7.3.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 설정
7.3.1. 트랜잭션 매니저 사용 유무 설정
7.3.2. 트랜잭션 매니저 타입 설정
7.3.3. 트랜잭션 매니저의 TCP/IP Port 설정
7.3.4. Worker Thread Pool 설정
7.3.5. 타임아웃 설정
7.4. 트랜잭션 애플리케이션 작성
7.4.1. 로컬 트랜잭션(Local Transaction)
7.4.2. 클라이언트 관리 트랜잭션(Client Managed Transaction)
7.4.3. Bean 관리 트랜잭션(Bean Managed Transaction)
7.4.4. 컨테이너 관리 트랜잭션(Container Managed Transaction)
7.4.5. 트랜잭션 매니저 사용
7.5. 트랜잭션의 복구
7.5.1. 트랜잭션 복구 과정
7.5.2. 복구 관련 로그 파일
7.5.3. 복구 관련 설정
7.5.4. 리소스 매니저 장애
7.6. 트랜잭션 프로파일 기능
7.7. IP 대역이 다른 서버 간에 트랜잭션 통신 문제

본 장에서는 JEUS에서의 트랜잭션 매니저와 그 주변 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7.1. 개요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Java EE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에게 다양한 형태의 트랜잭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리소스 매니저와의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필요에 따라 트랜잭션의 제어 권한을 매니저에 일임할 수도 있고, 자신이 직접 갖을 수도 있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리소스 매니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함께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작업들을 하며, 그 작업에서 중점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트랜잭션 서비스는 리소스에 대한 대용량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기본적이고 중요한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리소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리소스에 대한 요청 규모가 커짐에 따라, 트랜잭션 매니저는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할 필요성이 생겼다.

JEUS의 트랜잭션 매니저는 Java Transaction Service(JTS)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며, Java Transaction API(JTA)를 지원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트랜잭션을 이용할 때 통일된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API 문서나, 스펙 문서를 참고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클라이언트,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트랜잭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문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젹션 복구(Transaction Recovery)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문제 상황 이후에 트랜잭션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JEUS에서의 트랜잭션 작업에 참여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 서비스를 받는 입장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은 웹 컨테이너나 EJB 컨테이너, 클라이언트 컨테이너를 통해서 다양한 리소스 매니저로 접속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스스로 트랜잭션의 작업과 끝을 지정하여 트랜잭션을 조정할 수도 있고, 컨테이너의 트랜잭션 매니저가 그러한 작업들을 대신할 수도 있다.

  •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트랜잭션 관리 기능과 그에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트랜잭션 매니저

    트랜잭션 매니저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에 따라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와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로 나눠지고, 실제 리소스 매니저에 직접적으로 트랜잭션 작업을 준비, 반영 요청을 전달한다.

  • 실제 트랜잭션들이 영향을 주는 리소스 매니저(예: DB)

    리소스 매니저는 요청들을 받아들여 실제 작업을 수행한다.

각 구성 요소는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표준 API인 JTA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본 절에서는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하며, 각각에 대해 동작 방식을 알아보도록 한다. 트랜잭션의 기본적인 내용은 관련 서적이나 자료 등을 참고한다.

7.1.1.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은 JEUS 트랜잭션 매니저를 이용하여 리소스 매니저에 트랜잭션 관련 작업을 수행한다.

  • 로컬 트랜잭션

    하나의 리소스 매니저를 사용하는 트랜잭션 작업들은 하나의 로컬 트랜잭션으로 묶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 매니저의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로컬 트랜잭션을 시작하거나 종료한다.

    기본적으로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로컬 트랜잭션 처리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이 작업을 글로벌 트랜잭션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하나의 리소스 매니저를 이용하는 단순한 트랜잭션의 작업을 할 경우라면 로컬 트랜잭션이 훨씬 효율적이므로 로컬 트랜잭션을 사용하길 권장한다.

  • 글로벌 트랜잭션

    애플리케이션이 2개 이상의 리소스 매니저를 이용하여 일련의 트랜잭션 작업을 시도할 경우 트랜잭션 매니저는 이 트랜잭션들을 하나의 글로벌 트랜잭션으로 묶어서 처리할 수 있다. 이 글로벌 트랜잭션은 흔히 2 Phase Commi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 중인 리소스들에 대해 일괄적인 트랜잭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을 commit할 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흐름을 추적해서 1 Phase Commit을 할지 2 Phase Commit을 할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은 트랜잭션 내에 사용된 리소스 매니저의 개수와 타입에 따라서 결정된다. JEUS 트랜잭션은 중복된 트랜잭션을 지원하지 않으며 2개의 트랜잭션이 섞여서 진행하는 것은 허락하지 않는다.

  • User Managed 트랜잭션

    애플리케이션은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 객체를 사용해서 트랜잭션의 시작과 종료 시기를 지정할 수 있다. 트랜잭션을 commit 또는 rollback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commit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리소스 매니저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없을 때 JEUS 트랜잭션 매니저가 rollback시킬 수도 있다.

    EJB에서는 이 User Managed 트랜잭션을 Bean Managed Transaction(BMT)이라고 한다.

  • Container Managed 트랜잭션

    Container Managed 트랜잭션은 컨테이너가 트랜잭션의 시작과 종료시기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트랜잭션의 commit, rollback 등의 결정은 전적으로 컨테이너에 의해 결정된다. EJB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Bean의 각 메소드별로 트랜잭션 속성(NotSupported, Required, Supports, RequiresNew, Mandatory, Never)을 지정해서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몇 개의 리소스 매니저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로컬 트랜잭션글로벌 트랜잭션 2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의 결정 권한을 갖는 주체에 따라서 설정 및 프로그래밍 방식에 따라 나뉠 수 있다.

7.1.2. JEUS 트랜잭션 매니저

JEUS는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와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의 두 가지 트랜잭션 매니저를 제공한다.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는 글로벌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반면에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서버 트랜잭션의 대행(proxy) 역할만을 수행한다.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Server Transaction Manager)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는 Java Transaction API를 모두 구현했으며,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트랜잭션을 사용할 경우 동작한다.

글로벌 트랜잭션이 시작되면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는 글로벌 트랜잭션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해서, 트랜잭션의 Coordinator로서 작업을 진행한다. 상황에 따라서 Root CoordinatorSub Coordinator로 역할이 나뉜다.

[그림 7.1] Root Coordinator와 Sub Coordinator의 관계

Root Coordinator와 Sub Coordinator의 관계

  • Root Coordinator

    트랜잭션이 시작되는 트랜잭션 매니저가 담당하며, 여기서 시작된 트랜잭션이 전파되는 매니저는 Sub Coordinator가 된다.

  • Sub Coordinator

    Root Coordinator로부터 결정을 받아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능동적으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역할이 Root Coordinator, 이 내용을 따라하는 수동적 역할이 Sub Coordinator가 할 일이다.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Client Transaction Manager)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의 대행자(proxy)로 작동한다.

글로벌 트랜잭션의 신호를 받은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가 Root Coordinator의 역할을 하며, 해당 트랜잭션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서 처리한다. commit 시점에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commit 신호를 Root Coordinator에 전송하고 commit의 결과를 받는다.

7.1.3. 리소스 매니저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리소스 매니저와 작업을 할 수 있다. 커넥션 매니저는 리소스 매니저와의 연결을 관리한다.

JEUS에서는 JDBC Connection Manager, JMS Connection Manager, WebT Connection Manager, Connector Manager의 4가지 타입의 커넥션 매니저를 제공한다. 글로벌 트랜잭션을 위해서 커넥션 매니저는 트랜잭션과 관련되는 정보를 트랜잭션 매니저에 보고한다.

  • JDBC 리소스 매니저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Java 언어로 개발할 때 사용하는 DB와 애플케이션 간의 연결을 정의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은 JDBC 리소스 매니저을 Naming Server로부터 Lookup해서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제4장 JNDI Naming Server”“제6장 DB Connection Pool과 JDBC”를 참고한다.

  • JMS 리소스 매니저

    JMS(Java Message Service)는 Queue와 Topic 그리고 거기에 저장된 메시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API를 정의한 스펙이다. 자세한 내용은 "JEUS MQ 안내서"나 JMS 스펙을 참고한다.

  • Tmax(WebT) 리소스 매니저

    Tmax는 TmaxSoft에서 개발된 TP-monitor이다. JEUS에서는 Tmax의 트랜잭션 매니저와 투명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해서 WebT라는 Bridge를 제공한다. WebT는 양방향 메소드 호출을 지원한다. 그래서 Tmax에서 일반적인 EJB 클라이언트가 작동될 수 있으며, JEUS에 있는 EJB Bean을 동일한 방법으로 호출할 수 있다.

  • JCA 리소스 매니저

    JCA(Java Connector Architecture)는 Java EE 스펙 중의 하나로 Java EE 호환 플랫폼과 다양한 EIS(Enterprise Information System)와의 통합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XA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Connector를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트랜잭션 작업을 하나의 글로벌 트랜잭션으로 다룰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JEUS JCA 안내서"를 참고한다.

7.2.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 설정

본 절에서는 JEUS 트랜잭션 매니저의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JEUS 사용자는 설정을 통해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사항들은 JEUS 트랜잭션 매니저의 성능 및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내용을 숙지하고 알맞은 설정을 해야 한다.

트랜잭션 매니저의 설정은 대부분 WebAdmin이나 콘솔 툴을 이용할 수 있고, 나머지는 시스템 프로퍼티로 설정이 가능하다.

WebAdmin 사용

다음은 WebAdmin으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1. WebAdmin의 왼쪽 메뉴에서 [Servers]를 선택하면 서버 목록 조회 화면으로 이동한다.

  2. 동적으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LOCK & EDIT] 버튼을 클릭한다. WebAdmin의 설정변경 모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EUS WebAdmin 안내서"를 참고한다.

  3. 해당 화면에서 서버를 선택하면 서버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 서버 설정화면에서 [Basic] > [Tm Config] 메뉴를 선택하면 TM Config 화면으로 이동한다.

  4. 트랜잭션 설정을 변경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설정 정보는 왼쪽 메뉴 하단에 [Activate Changes] 버튼을 클릭해서 반영한다.

7.2.1. Worker Thread Pool 설정

JEUS 트랜잭션 매니저에서는 다른 트랜잭션 매니저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Worker Thread를 사용한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기본적으로 서버의 System Thread Pool을 사용한다. 트랜잭션이 중요하고 빠른 처리를 요구하는 서버에서는 Thread Pool을 설정할 수 있다.

  • 공용 Thread Pool

    트랜잭션이 많지는 않지만 일정한 수준으로 트랜잭션이 발생하고 다른 서비스보다 빠른 처리를 원한다면 서버 전체 서비스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System Thread Pool을 설정한다.

    공용 Thread Pool은 트랜잭션 매니저만 사용할 수 있는 Thread 개수를 'Reserved Thread Num' 항목을 이용하여 별도로 할당할 수 있다. 이때에는 다른 서비스들도 처리에 문제가 없도록 전체 Thread Pool의 크기를 고려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만의 Thread를 할당한다.

    주의

    다른 서비스에서도 각각 해당 서비스만을 위한 Thread를 할당할 수 있는데 그 총합이 전체 Thread Pool 크기 이상으로 설정하면 안 된다. 'Reserved Thread Num'을 동적으로 변경할 경우(n → m) n 또는 m이 0이면 동적 반영되지 않고 Pending으로 처리되므로 재부팅해야 한다.

  • 전용 Thread Pool

    트랜잭션이 굉장히 많고 부하의 기복이 심하다면 System Thread를 사용하지 않고, 트랜잭션 매니저만 사용하는 전용 Thread를 생성해서 사용한다. Thread Pool을 구성하는 설정들은 System Thread Pool의 설정들과 같으므로 “2.3.3. Thread Pool 설정”을 참고한다.

위와 같이 System Thread Pool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용 Thread Pool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서버 운영 중에는 Pool의 종류를 변경할 수는 없다. 즉, 변경 후 서버를 재시작해야 Pool의 종류를 반영할 수 있다. 그러나 Pool의 설정은 전용 Thread Pool의 큐 크기만 제외하고는 모두 서버 재시작 없이 동적 변경이 가능하다.

WebAdmin 사용

다음은 WebAdmin을 사용해서 Thread Pool 변경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Tm Config 화면의 하단 부분에서 Thread Pool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Thread Pool에 대해 설정하려면 'Pooling' 항목을 체크한다.

  • 공용 Thread Pool 설정

    공용 Thread Pool을 설정하는 경우는 'Shared' 항목을 선택하고, 'Reserved Thread Num'을 설정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7.2] WebAdmin으로 공용 Thread Pool 설정

    WebAdmin으로 공용 Thread Pool 설정


  • 전용 Thread Pool 설정

    전용 Thread Pool을 설정하는 경우는 'Dedicated' 항목을 선택하고, 필요한 항목을 설정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7.3] WebAdmin으로 전용 Thread Pool 설정

    WebAdmin으로 전용 Thread Pool 설정


콘솔 툴 사용

다음은 콘솔 툴을 사용해서 Thread Pool 변경하는 설명이다.

  • 공용 Thread Pool 설정

    System Thread Pool에서 몇 개의 Thread를 트랜잭션 매니저를 위해 별도로 할당하려면 modify-system-thread-pool 명령을 사용한다.

    [DAS]domain1.adminServer>modify-system-thread-pool server1 -service transaction
     -reservednum 10
    Successfully performed the MODIFY operation for the transaction thread pool of the 
    server (server1).
    Check the results using "show-system-thread-pool server1 -service transaction or 
    modify-system-thread-pool server1 -service transaction"
  • 전용 Thread Pool 설정

    트랜잭션 매니저 전용 Thread를 사용하려면 modify-service-thread-pool 명령을 사용한다.

    System Thread Pool을 사용하다가 전용 Thread Pool을 설정하면 서버를 재시작해야 적용되고, 전용 Thread Pool을 사용하다가 속성만 바꾸면 재시작 없이 반영된다.

    [DAS]domain1.adminServer>modify-service-thread-pool server1 -service transaction 
    -min 10 -max 20
    Successfully performed the MODIFY operation for The transaction thread pool of the 
    server (server1), but all changes were non-dynamic. They will be applied after 
    restarting.
    Check the results using "show-service-thread-pool server1 -service transaction or 
    modify-service-thread-pool server1 -service transaction"

참고

modify-system-thread-pool과 modify-service-thread-pool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EUS Reference Book”의 “4.2.5.2. modify-service-thread-pool”을 참고한다.

7.2.2. 타임아웃 설정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예외 상황 처리를 위해서 다양한 타임아웃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타임아웃 메커니즘의 값을 조정해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가장 적합하도록 트랜잭션 매니저를 튜닝할 수 있다. 타임아웃 설정들은 모두 서버 재시작으로 반영되는 설정들이다. 서버 시작 전에 고려하여 설정하거나 서비스 중에 변경했다면 서버를 재시작해야 한다.

WebAdmin 사용

다음은 WebAdmin을 사용해서 타임아웃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Tm Config 화면의 상단 부분에서 여러 가지 타임아웃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림 7.4] WebAdmin으로 타임아웃 변경

WebAdmin으로 타임아웃 변경


다음은 설정 항목에 대한 설명이다.

  • 기본 정보

    항목설명
    Active Timeout

    글로벌 트랜잭션이 시작되면 이 시간 안에 commit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트랜잭션 매니저가 rollback시킨다.

    (기본값: 600000(10분), 단위: ms)

  • 고급 선택사항

    항목설명
    Prepare Timeout

    Root Coordinator는 이 시간 내에 Sub Coordinator와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prepare’ 신호를 받아야 한다. 만약 이 시간 내에 받지 못하면 Root Coordinator는 글로벌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기본값: 120000(2분), 단위: ms)

    Prepared TimeoutSub Coordinator는 자신의 Root Coordinator로부터 이 시간 안에 commit을 해야 할지 rollback을 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Global Decision을 받아야 한다. 만약 이 시간 내에 받지 못하면 Root Coordinator로 다시 ‘prepare’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그래도 여전히 시간 내에 Global Decision이 오지 않으면 글로벌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기본값: 60000(1분), 단위: ms)
    Commit Timeout

    Root Coordinator는 이 시간 내에 Sub Coordinator와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commit이나 rollback에 대한 결과를 받아야 한다.

    만약 결과가 오지 않으면, Root Coordinator는 글로벌 트랜잭션을 'Incomplete List’에 기록해서 트랜잭션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음을 남겨둔다. (기본값: 240000(4분), 단위: ms)

    Recovery Timeout

    트랜잭션 복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값이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 복구를 위해서 복구될 트랜잭션 정보를 가져오려고 한다. 만약 다른 트랜잭션 매니저에서 이 시간 내에 복구 정보를 알려주지 않으면 해당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기본값: 120000(2분), 단위: ms)

    Uncompleted Timeout

    트랜잭션 매니저는 전체 트랜잭션 처리를 완료하기 위해 실패한 글로벌 트랜잭션의 목록을 보관한다. 완료되지 못한 글로벌 트랜잭션의 정보는 복구를 처리할 때 사용되므로 이 타임아웃 시간까지 보관된다.

    그러므로 이 시간이 너무 짧으면 복구 정보가 빨리 지워지고, 트랜잭션 매니저가 해당 글로벌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복구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글로벌 트랜잭션 복구를 위해서 시스템 관리자가 많은 작업을 직접 처리해야 한다.

    (기본값: 86400000(1일), 단위: ms)

콘솔 툴 사용

다음은 콘솔 툴을 사용해서 타임아웃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modify-transaction-manager 명령을 이용하여 트랜잭션 매니저의 타임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해당 명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2.1. modify-transaction-manager”를 참고한다.

[DAS]domain1.adminServer>modify-transaction-manager server1 -activeTimeout 20000
Successfully performed the MODIFY operation for transaction of server (server1), but all changes were non-dynamic. They will be applied after restarting.
Check the results using "show-transaction-manager server1 or modify-transaction-manager server1"

7.2.3. Root Coordinator와 Sub Coordinator 관련 설정

트랜잭션 매니저는 역할에 따라 Root Coordinator와 Sub Coordinator로 나누어진다. Sub Coordinator는 Root Coordinator로부터 트랜잭션 관련 사항을 전파받아야 하므로 Root Coordinator에 자신을 등록시켜 Root Coordinator가 Sub Coordinator의 존재를 알게 한다.

다음의 두 가지 시스템 프로퍼티를 사용해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퍼포먼스와 안정성을 고려해서 옵션을 적절히 사용하도록 한다.

  • -Djeus.tm.forcedReg=<true or false>

    이 설정은 Sub Coordinator가 Root Coordinator에게 언제 자신을 등록시킬 것인지에 대한 설정이다.

    설정값설명
    true트랜잭션 전파 상황에서 Sub Coordinator는 즉시 자신을 등록한다. (기본값)
    false실제로 Sub Coordinator에 연결된 리소스 매니저를 사용할 때 Root Coordinator에 등록한다. 이렇게 할 경우 실제 Sub Coordinator에 등록된 리소스 매니저를 사용하지 않는 EJB Call이 많은 경우에 트랜잭션 매니저 간의 통신 횟수를 줄일 수 있다.

  • -Djeus.tm.checkReg=<true or false>
    설정값설명
    trueSub Coordinator가 자신을 등록할 때 Root Coordinator로부터 ACK를 기다린다. 만약 일정 시간 내에 ACK가 도착하지 않으면 등록 실패로 간주하고 대기 중인 트랜잭션들을 rollback을 시킨다. (기본값)
    falseSub Coordinator가 자신을 등록할 때 Root Coordinator로부터 ACK를 기다리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등의 문제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도 미리 알지 못하므로 실제 commit할 때에 문제가 된다.

7.2.4. 트랜잭션 Join 설정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같은 리소스 매니저의 트랜잭션 리소스들은 서로 Join을 시킨다. 이렇게 할 경우 추가적인 트랜잭션 브랜치를 생성하지 않고도 작업을 하게 되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이러한 방식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Oracle OCI를 RAC처럼 사용할 때).

이 경우에는 다음의 옵션을 true로 지정하여 문제 발생을 대비한다.

-Djeus.tm.disableJoin=true

7.3.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 설정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글로벌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종료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본 절에서는 클라이언트에 특별한 의미를 갖는 설정들에 대해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domain.xml의 설정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실행 스크립트에 시스템 프로퍼티 형태로 설정을 지정한다.

7.3.1. 트랜잭션 매니저 사용 유무 설정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JNDI Lookup을 사용할 때 초기화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발생하는 추가적인 오버헤드를 없애기 위해 다음의 내용을 실행 스크립트에 저장한다.

-Djeus.tm.not_use=true

7.3.2. 트랜잭션 매니저 타입 설정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만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는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하고 특별히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려면 다음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에 추가한다. 서버 트랜잭션 매니저와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의 차이는 “7.1.2. JEUS 트랜잭션 매니저”를 참고한다.

-Djeus.tm.version=server

7.3.3. 트랜잭션 매니저의 TCP/IP Port 설정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다른 트랜잭션 매니저와 통신하기 위해서 TCP/IP Port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는 적절한 포트를 스스로 찾아서 사용하나, 직접 설정하려면 다음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에 추가한다.

-Djeus.tm.port=<port number>

7.3.4. Worker Thread Pool 설정

Worker Thread Pool의 정보를 설정한다.

  • Min

    • Pool에 생성되는 Worker Thread의 수로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다음의 내용을 클라이언트 실행 스크립트에 넣어준다.

      -Djeus.tm.tmMin=<number of threads>
  • Max

    • Pool에서 생성되는 Thread의 최대 개수로 클라이언트 트랜잭션 매니저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다음의 내용을 클라이언트 실행 스크립트에 넣어준다.

       -Djeus.tm.tmMax=<number of threads>

7.3.5. 타임아웃 설정

다음은 클라이언트에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 Active Timeout

    • 글로벌 트랜잭션이 시작되면 이 시간 안에 commit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트랜잭션 매니저가 rollback시킨다. (기본값: 600000(10분), 단위: ms)

    •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립트에 다음을 추가한다.

      -Djeus.tm.activeto=<time in milliseconds>
  • Prepare Timeout

    • Root Coordinator는 이 시간 내에 Sub Coordinator와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prepare’ 신호를 받아야 한다. (기본값: 120000(2분), 단위: ms)

    • 만약 받지를 못하면 Root Coordinator는 글로벌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립트에 다음을 추가한다.

      -Djeus.tm.preparedto=<time in milliseconds>

  • Prepared Timeout

    • Sub Coordinator는 자신의 Root Coordinator로부터 이 시간 안에 commit할지 rollback할지를 나타내는 Global Decision을 받아야 한다. (기본값 : 60000(1분), 단위: ms)

    • 만약 이 시간 내에 받지 못하면 Root Coordinator 로 다시 ‘prepare’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그래도 여전히 시간 내에 Global Decision이 오지 않으면 글로벌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립트에 다음을 추가한다.

      -Djeus.tm.preparedto=<time in milliseconds>

  • Commit Timeout

    • Root Coordinator는 이 시간 내에 Sub Coordinator와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commit이나 rollback에 대한 결과를 받아야 한다. (기본값 : 240000(4분), 단위: ms)

    • 만약 결과가 오지 않으면 Root Coordinator는 글로벌 트랜잭션을 ‘Incomplete List’에 기록해서 트랜잭션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음을 남겨둔다.

    •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립트에 다음을 추가한다.

      -Djeus.tm.committo=<time in milliseconds>

  • Recovery Timeout

    • 트랜잭션을 복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 복구를 위해서 복구될 트랜잭션 정보를 가져오려고 한다. (기본값 : 120000(2분), 단위: ms)

    • 만약 다른 트랜잭션 매니저에서 이 시간 내에 복구 정보를 알려주지 않으면 해당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립트에 다음을 추가한다.

      -Djeus.tm.recoveryto=<time in milliseconds>

  • Incomplete Timeout

    • 트랜잭션 매니저는 전체 트랜잭션 처리를 완료하기 위해 실패한 글로벌 트랜잭션의 목록을 보관한다. 완료되지 못한 글로벌 트랜잭션의 정보는 복구를 처리할 때 사용되므로 이 타임아웃 시간까지 보관된다. 그러므로 이 시간이 너무 짧으면 복구 정보가 빨리 지워지고 트랜잭션 매니저가 해당 글로벌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복구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글로벌 트랜잭션 복구를 위해서 시스템 관리자가 많은 작업을 직접 처리해야만 한다. (기본값 : 86400000(1일), 단위: ms)

    •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에서 이 값을 설정하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립트에 다음을 추가한다.

      -Djeus.tm.incomplete.to=<time in milliseconds>

7.4. 트랜잭션 애플리케이션 작성

본 절에서는 JEUS 트랜잭션 프로그래밍 예제를 설명한다.

트랜잭션 프로그래밍 패턴에는 4가지가 있다.

  • 로컬 트랜잭션(Local Transaction)

  • 클라이언트 관리 트랜잭션(Client Managed Transaction)

  • Bean 관리 트랜잭션(Bean Managed Transaction)

  • 컨테이너 관리 트랜잭션(Container Managed Transaction)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머는 현재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양식으로 운영되어야 하는가를 확실히 지정한 후 프로그래밍을 해야 한다. 그래야만 예측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트랜잭션 작업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관리할 수 있다. 작업이 하나의 리소스 매니저를 통해서 처리된다면 로컬 트랜잭션을 형성한다. 그렇지 않다면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해서 글로벌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7.4.1. 로컬 트랜잭션(Local Transaction)

로컬 트랜잭션은 하나의 리소스 매니저에 대한 트랜잭션 작업을 관리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가볍고 빠르기 때문에 가능하면 로컬 트랜잭션을 사용한다. 로컬 트랜잭션은 JEUS 트랜잭션 매니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모든 타입의 컨테이너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로컬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비록 Java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코드 일부분은 Servlet이나 EJB 등과 같은 다른 Java EE 프로그래밍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 7.1] <<Client.java>>

import javax.naming.*;
import javax.rmi.PortableRemoteObject;
import java.util.*;
import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
import java.sql.*;
import javax.sql.*;

public class Client {
    private static Connection con;

    private stat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NamingException, SQLException {
         // get a JDBC connection
    }

    private static String insertCustomer(String id, String name,
             String phone) throws NamingException, SQLException {
        // insert a product entity given by the arguments to DB
    }

    private static void deleteCustomer(String id) throws
                              NamingException, SQLException {
        // delete a product entity given by the arguments from DB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 get a JDBC connection
          con = getConnection();

          // set the autocommit attribute as false
          con.setAutoCommit(false);

          // insert customers
          for (int i=0 ; i<number/2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customer id="+i+"c... from Client");
              customers[i] =
                  insertCustomer(i+"c", "Hong Kil Dong "+i, "000-123-1234-"+i);
          }
          System.out.println("completed inserting customers!!");
          con.commit();

          // delete customers
          for (int i=0 ; i<number/2 ; i++) {
             System.out.println(
                 "deleting customerid="+customers[i]+" ... from Client");
             deleteCustomer(customers[i]);
          }
          System.out.println("completed deleting customers!!");
          con.commit();

       } catch (NamingException ne) {
          System.out.println("Naming Exception caught : " + ne.getMessage());
       } catch (SQLException sqle) {
          System.out.println("SQL Exception caught : " + sqle.getMessage());
       } catch(Exception e) {
          try {
             con.rollback();
          } catch (Exception ee) {
             System.out.println("Transaction Rollback error : " + ee.getMessage());
          }
          System.out.println("Error caught : " + e.getMessage());
          e.printStackTrace();
      } finally {
         try {
             if (con!=null) con.close();
         } catch (SQLException se) {}
      }
   }
}


7.4.2. 클라이언트 관리 트랜잭션(Client Managed Transaction)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글로벌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UserTransaction을 이용하여 직접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EJB를 호출한다.

다음은 간단한 예제이다.

클라이언트

글로벌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전에 ‘java:comp/UserTransaction’을 Lookup해서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의 인스턴스를 가져온다. 이 인스턴스의 begin()을 호출해서 글로벌 트랜잭션을 시작한 다음, EJB Bean을 여러 번 호출한다. EJB Bean의 트랜잭션 작업을 commit하려면 UserTransaction 인스턴스의 commit() 메소드를 실행해서 트랜잭션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정상적으로 commit되면 메소드는 끝나게 된다. 장애가 발생해서 글로벌 트랜잭션이 commit되지 못한다면 메소드에서 Exception을 던지게 된다. javax.transaction.RollbackException은 JEUS 트랜잭션 매니저가 글로벌 트랜잭션이 rollback되었다는 것을 보장하는 Exception이다. 이외에 다른 Exception은 JEUS 트랜잭션 매니저가 예측할 수 없는 Exception이 발생해서 글로벌 트랜잭션을 rollback하려고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글로벌 트랜잭션에 포함된 모든 트랜잭션 작업들이 완전히 rollback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럴 때는 catch 문 안에서 다시 한 번 직접 UserTransaction의 rollback() 메소드를 호출해 글로벌 트랜잭션을 rollback시킨다.

참고

Standalone 클라이언트는 컴포넌트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java:comp/UserTransaction을 Standalone 클라이언트에서 다른 이름으로 Lookup할 수 있도록 java:/UserTransaction을 지원한다. 실질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는 java:comp/UserTransaction, java:/UserTransaction 모두 트랜잭션을 Lookup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고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다.

[예 7.2] <<Client.java>>

package umt;

import javax.naming.InitialContext;
import javax.naming.NamingException;
import javax.rmi.PortableRemoteObject;
import java.util.*;
import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erTransaction tx = null;
   try {
       InitialContext initial = new InitialContext();
       ProductManager productManager =
           (ProductManager)initial.lookup("productmanager");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 Testing ProductManager EJBBean " +
               "Using User Managed Transaction >>");
       System.out.println("");
       int number = 10;
       String products[] = new String[number];
       tx = (UserTransaction)initial.lookup("java:comp/UserTransaction");
       tx.begin();
       // insert products
       for (int i=0 ; i<number/2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product id="+i+"b...");
           // bean call
            products[i] = productManager.insertProduct(i+"b","ball pen", i*10); 
        }
        for (int i=number/2 ; i<number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product id="+i+"f...");
            products[i] = productManager.insertProduct(i+"f", "fountain pen", (i-number/3)*50);
        }
        System.out.println("completed inserting products!!");
        // delete products
        for (int i=0 ; i<number ; i++) {
           System.out.println("deleting productid="+products[i]+" ...");
           productManager.deleteProduct(products[i]); // bean call
        }
       System.out.println("completed deleting products!!");
       tx.commit();
   } catch (javax.transaction.SystemException se) {
      System.out.println("Transaction System Error caught : " + se.getMessage());
   } catch (javax.transaction.RollbackException re) {
      System.out.println("Transaction Rollback Errorcaught : " + re.getMessage());
   } catch(Exception e) {
      try {
           tx.rollback();
      } catch (Exception ee) {
          System.out.println("Transaction Rollback error : " + ee.getMessage());
      }
            System.out.println("Error caught : " + e.getMessage());
            e.printStackTrace();
      }
  }
 }
}


EJB

다음의 EJB Bean은 트랜잭션 작업을 하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글로벌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EJB의 트랜잭션 타입이 CMT(container-managed)여야 한다. 기본값은 CMT이므로 아무것도 지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명시적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TransactionManagerType 값을 지정한다.

[예 7.3] <<ProductManagerEJB.java>>

package umt;

import javax.ejb.*;
import javax.annotation.*;

@Stateless
@TransactionManagement(TransactionManagementType.CONTAINER) 
public class ProductManagerEJB implements ProductManager {
    ....

    public String insertProduct(String id, String name, double price) {
        // insert a product entity given by the arguments to DB
    }

    public void deleteProduct(String id) {
        // delete a product entity indicated by the argument from
        // DB
    }
    .....
}


7.4.3. Bean 관리 트랜잭션(Bean Managed Transaction)

Bean 관리 트랜잭션은 웹 컨테이너와 EJB 컨테이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JTA를 사용해서 글로벌 트랜잭션 경계를 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글로벌 트랜잭션을 세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다. 실행 순서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은 자신의 판단에 따라서 commit과 rollback을 할 수 있다.

다음은 EJB 컨테이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글로벌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예제이다.

클라이언트

Bean 관리 트랜잭션(BMT)에서는 EJB Bean이 글로벌 트랜잭션 영역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모든 클라이언트는 단지 트랜잭션 작업을 하는 메소드를 호출하기만 하면 된다.

[예 7.4] <<Client.java>>

package bmt;

import javax.naming.*;
import javax.rmi.PortableRemoteObject;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ProductManager productManager;
            .......
            // Getting a reference to an instance of
            // ProductManager EJB bean.
            .......
            productManager.transactionTest();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EJB

EJB Bean은 글로벌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해서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를 사용한다. javax.ejb.EJBContext(본 예제에서는 EJB가 Session Bean이므로 javax.ejb.SessionContext)를 사용해서 UserTransaction의 인스턴스를 얻어온다. 글로벌 트랜잭션은 메소드의 실행으로 begin되고 commit된다.

EJB가 Bean 관리 트랜잭션으로 작동하려면 Annotation으로 TransactionManagement 값을 TransactionManagementType.BEAN으로 지정한다.

[예 7.5] <<ProductManagerEJB.java>>

package bmt;

import javax.ejb.*;
import javax.naming.*;
import java.sql.*;
import java.util.*;
import javax.annotation.*;
import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

@Stateless
@TransactionManagement(TransactionManagementType.BEAN) 
public class ProductManagerEJB implements ProductManager {
    @Resource SessionContext ejbContext;   

    public void transactionTest() {
        UserTransaction tx = null;
        try {
          int number = 20;
          String products[] = new String[number];
          tx = ejbContext.getUserTransaction();
          tx.begin();
          // insert products
          for (int i=0 ; i<number/2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product id="+i+"b ...");
               products[i] = insertProduct(i+"b", "ball pen", i*10);
           }
           for (int i=number/2 ; i<number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product id="+i+"f...");
               products[i] = insertProduct(i+"f", "fountain pen", 
               (i-number/3)*50);
           }
           System.out.println("completed inserting products!!");
            // delete products
           for (int i=0 ; i<number ; i++) {
               System.out.println("deleting product id="+products[i]+" ...");
               deleteProduct(products[i]);
           }
           System.out.println("completed deleting products!!");
           tx.commit();
        } catch (javax.transaction.SystemException se) {
            throw new EJBException(
                "Transaction System Error caught : " + se.getMessage());
        } catch (javax.transaction.RollbackException re) {
            throw new EJBException(
                "Transaction Rollback Error caught : " + re.getMessage());
        } catch(Exception e) {
           try {
              tx.rollback();
           } catch (Exception ee) {
              throw new EJBException("Transaction Rollback error : " + ee.getMessage());
           }
           throw new EJBException("Error caught : " + e.getMessage());
        }
    }

    private String insertProduct(String id, String name, double price) 
        throws NamingException, SQLException {
        // insert a product entity given by the arguments to DB
    }

    private void deleteProduct(String id) throws NamingException,SQLException {
        // delete a product entity indicated by the argument from
        // DB
    }
    // some EJB callback methods
}


7.4.4. 컨테이너 관리 트랜잭션(Container Managed Transaction)

Java EE 스펙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은 글로벌 트랜잭션 경계(demarcation) 지정을 컨테이너에 위임할 수 있다. 웹 컨테이너나 EJB 컨테이너는 메소드와 관련된 글로벌 트랜잭션을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설정 파일에 메소드별로 트랜잭션 속성을 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글로벌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다음은 EJB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글로벌 트랜잭션의 예이다.

클라이언트

다음은 컨테이너 관리 트랜잭션에서 서버 측 EJB 컨테이너가 EJB의 글로벌 트랜잭션 작업을 관리하는 예제이다.

[예 7.6] <<Client.java>>

package bmt;

import javax.naming.*;
import javax.rmi.PortableRemoteObject;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ProductManager productManager;
            // getting a reference to an instance of
            // ProductManager EJB bean.
            productManager.transactionTest();
        } catch(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EJB

컨테이너 관리 트랜잭션의 장점은 EJB Bean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 코드에서 더 이상 트랜잭션 관련 코드를 작성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EJB Bean의 메소드에 적절한 트랜잭션 속성만 지정하면 글로벌 트랜잭션 관련 작업은 모두 EJB 컨테이너에 위임된다. 다음의 예제에서 transactionTest()는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아무 것도 없다. EJB Bean이 컨테이너 관리 트랜잭션으로 작동하도록 EJB 컨테이너에 알려주려면 TransactionManagement Annotation을 생략하거나 TransactionManagerType.CONTAINER 값으로 지정해준다.

[예 7.7] <<ProductManagerEJB.java>>

package cmt;

import javax.ejb.*;
import javax.naming.*;
import java.sql.*;
import java.util.*;
import javax.annotation.*;

@Stateless
@TransactionManagement(TransactionManagementType.CONTAINER) 
public class ProductManagerEJB implements ProductManager {
    public void transactionTest() {
      try {
          int number = 20;
          String products[] = new String[number];
          // insert products
          for (int i=0 ; i<number/2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product id="+i+"b...");
              products[i] = insertProduct(i+"b", "ball pen", i*10);
          }
          for (int i=number/2 ; i<number ; i++) {
          System.out.println("inserting product id="+i+"f...");
          products[i] = insertProduct(i+"f", "fountain pen", (i-number/3)*50);
      }
      System.out.println("completed inserting products!!");
      // delete products
      for (int i=0 ; i<number ; i++) {
        System.out.println("deleting product id="+products[i]+" ...");
        deleteProduct(products[i]);
      }
      System.out.println("completed deleting products!!");
     } catch(Exception e) {
       throw new EJBException("Error caught : " +  e.getMessage());
     }
  }

    private String insertProduct(String id, String name, double price) 
        throws NamingException, SQLException {
        // insert a product entity given by the arguments to DB
    }

    private void deleteProduct(String id) throws NamingException, SQLException {
        // delete a product entity indicated by the argument from
        // DB
    }

    // some EJB callback methods
}


7.4.5. 트랜잭션 매니저 사용

트랜잭션 매니저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 JNDI Context에서 java:appserver/TransactionManager의 이름으로 Lookup하면 트랜잭션 매니저를 얻을 수 있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을 시작/종료할 수 있고 트랜잭션 객체를 얻거나 XAResource 객체를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ava Transaction API(JTA) specification"을 참고한다.

참고

JEUS에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얻거나 UserTransaction을 얻는 방법은 Glassfish 또는 SunOne Application Server와 호환된다. 따라서 Hibernate와 같은 3rd-party library를 사용할 때 호환되는 서버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7.5. 트랜잭션의 복구

본 절에서는 트랜잭션의 복구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트랜잭션의 복구는 예상치 못한 문제 상황에 있어 트랜잭션 무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JEUS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관련 설정 및 트랜잭션 복구 과정에 대해 숙지한다.

7.5.1. 트랜잭션 복구 과정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장애에 대한 대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장애 대책은 주로 진행 중이던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 매니저의 역할에 따라서 복구 방식에 차이를 보인다. 즉, 매니저가 Root Coordinator 또는 Sub Coordinator인지, JEUS가 아닌 다른 외부 트랜잭션 매니저와 작업 중인지에 따라서 복구 방식이 달라진다.

다음의 그림은 트랜잭션 매니저의 복구 과정을 간단히 보여준다.

[그림 7.5] 단순화한 트랜잭션 복구 과정

단순화한 트랜잭션 복구 과정

  • 1, 2) 트랜잭션 매니저가 장애 상황에서 복구될 경우 매니저는 트랜잭션 로그로부터 복구할 트랜잭션 정보를 얻어온다.

  • 3) 그 이후 로그의 내용에 따라 해당 리소스 매니저로 Recover 명령을 보낸다.

  • 4) 리소스 매니저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 자신이 처리하지 못한 트랜잭션들의 XID를 매니저로 넘겨준다.

  • 5) 트랜잭션 매니저는 이 XID들과 로그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가지고 commit 또는 rollback 판정을 리소스 매니저로 전달한다.

트랜잭션 매니저의 역할에 따라 조금씩 복구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큰 흐름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후부터는 복구에 참여하는 각각의 요소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관련 설정들에 대해 설명한다.

트랜잭션 매니저별 복구 과정

트랜잭션 복구에서 트랜잭션 매니저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다음은 트랜잭션 매니저 역할에 따른 복구 방식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다.

  • Root Coordinator

    트랜잭션 매니저가 Root Coordinator일 경우에는 [그림 7.5]과 같이 동작한다.

  • Sub Coordinator

    Sub Coordinator는 Root Coordinator에게 하나의 리소스 매니저처럼 등록된다.

    그리고 모든 Decision을 Root Coordinator로부터 받아오므로 Sub Coordinator는 자신에게 등록된 리소스 매니저와 로그 파일에 대해 XID를 얻어오는 작업까지만 수행한다. 그 이후 XID를 Root Coordinator로 보내고 판정을 기다린다. Root Coordinator로부터 판정이 넘어오면 그 내용을 리소스 매니저에게 전달해 복구 작업을 마무리한다.

  • 외부 트랜잭션 매니저와의 작업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Root Coordinator로서 동작을 하고 외부 트랜잭션 매니저는 JEUS를 하나의 리소스 매니저로 인식한다. 그러므로 판정을 내리는 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들을 수행한다. 그 이후 외부 트랜잭션 매니저가 JEUS에게 Recover 명령 및 판정을 내리면 그에 따라 복구 작업을 완료한다.

자동 트랜잭션 복구

자동 트랜잭션 복구 기능은 클러스터 환경에서 현재의 트랜잭션 매니저가 비정상 종료되면 다른 서버의 트랜잭션 매니저가 자동으로 indoubt 트랜잭션을 복구해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이 올바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서버 간에 클러스터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며 복구해주는 서버가 비정상 종료된 서버의 트랜잭션 로그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

다음은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자동 트랜잭션 복구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이 설정은 서버 재시작 없이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 WebAdmin 사용

    WebAdmin의 왼쪽 메뉴에서 [Servers]를 선택하면 서버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해당 화면에서 서버를 선택하면 서버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 서버 설정화면에서 [Tm Config] 메뉴를 선택해서 트랜잭션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 설정화면에서 'Automatic Recovery' 항목을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7.6] WebAdmin으로 자동 트랜잭션 복구

    WebAdmin으로 자동 트랜잭션 복구


  • 콘솔 툴 사용

    콘솔 툴에서 modify-transaction-manager 명령을 사용해서 자동 트랜잭션 복구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해당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2.1. modify-transaction-manager”를 참고한다.

    [DAS]domain1.adminServer>modify-transaction-manager server1 -automaticRecovery true
    Successfully performed the MODIFY operation for transaction of server (server1), but all changes were non-dynamic. They will be applied after restarting.
    Check the results using "show-transaction-manager server1 or modify-transaction-manager server1"

7.5.2. 복구 관련 로그 파일

트랜잭션 복구에 사용되는 로그 파일은 다음의 2가지가 있다.

  • 트랜잭션의 진행 상황을 기록한 로그

  • 사용했던 XA 리소스 관련 로그

로그 파일은 기본적으로 SERVER_HOME/.workspace/tmlog의 하위 디렉터리에 생성된다. SERVER_HOME의 위치는 “1.5. 서버 디렉터리 구조”를 참고한다. 로그 파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자동 트랜잭션 복구를 위해서 여러 서버가 접근 가능한 위치에 로그를 남기고 싶은 경우 공용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만약 복구가 필요없는 트랜잭션 때문에 기동 중 복구 관련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 로그를 백업한 후 JEUS를 다시 실행한다.

다음은 WebAdmin과 콘솔 툴을 사용해서 복구 관련 로그 파일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 WebAdmin 사용

    WebAdmin의 왼쪽 메뉴에서 [Servers]를 선택하면 서버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서버 설정화면에서 [Tm Config] 메뉴를 선택해서 트랜잭션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 설정화면의 고급 선택사항에서 정보를 설정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7.7] WebAdmin으로 트랜잭션 로그 디렉터리 변경

    WebAdmin으로 트랜잭션 로그 디렉터리 변경


  • 콘솔 툴 사용

    콘솔 툴에서 modify-transaction-manager 명령을 사용하여 트랜잭션 로그 디렉터리를 변경할 수 있다. 해당 명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2.1. modify-transaction-manager”를 참고한다.

    [DAS]domain1.adminServer>modify-transaction-manager server1 -txLogDir /Users/user1/jeus/domain1/tmlogs
    Successfully performed the MODIFY operation for transaction of server (server1) ,but ALL changes were non-dynamic. They will be applied after restarting.
    Check the results using "show-transaction-manager server1 or modify-transaction-manager server1"

7.5.3. 복구 관련 설정

복구에 관련된 설정으로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 시스템 프로퍼티로 다음을 서버의 JVM 설정에 추가해야 한다. 추가하는 방법은 JEUS Domain 안내서”의 “3.6.2. 서버의 JVM 설정변경”을 참고한다.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복구할 경우나 성능 향상이 필요한 경우에 복구를 위한 logging을 막을 수도 있다.

-Djeus.tm.noLogging=true

만약 복구 작업 중에 어떤 문제에 의해 복구가 실패할 경우 트랜잭션 매니저는 그 리소스에 대해 추가적인 복구를 시도한다. 이는 2분에 한 번씩 시행되며 사용자는 시도 횟수를 지정할 수 있다.

시도 횟수 지정을 위해 다음 프로퍼티를 스크립트에 추가한다. (기본값: 30)

-Djeus.tm.recoveryTrial=<number of trial>

서버를 시작할 때 복구할 트랜잭션이 있다면 STANDY가 되기 전에 복구를 시작한다. 복구 중 실패한 리소스가 있다면 그에 대해 백그라운로 복구를 재시도한다.

이때 재시도하는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기본값: 120000(2분), 단위: ms)

-Djeus.tm.recoveryInterval=<time in milliseconds>

TM 로그 파일이 지워져서 복구가 불가능한 상황일 때 JEUS의 boot는 실패하게 된다. 만약 복구가 필요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JEUS가 파일이 깨진 것을 감지한 후 TM 로그 파일들을 전부 지우도록 초기화시킨 후 boot가 성공되게 한다. (기본값 : false)

-Djeus.tm.ignore.broken.log.file=<true or false>

7.5.4. 리소스 매니저 장애

리소스 매니저에서 장애가 발생했다면 시스템 매니저는 콘솔 툴을 사용해서 수동으로 복구한다. 그 이유는 JEUS 트랜잭션 매니저는 리소스 매니저가 다시 트랜잭션 처리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알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리소스 매니저의 문제를 해결한 후에 콘솔 툴의 recover-transactions 명령을 수행해서 복구를 진행한다. 콘솔 툴의 자세한 사용법은 JEUS Reference Book”의 “4.2.12.2. recover-transactions”를 참고한다.

7.6. 트랜잭션 프로파일 기능

JEUS 트랜잭션 메니저가 각 트랜잭션 과정 중 중요한 시점에 사용자의 callback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서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상속한 사용자만의 프로파일 리스너를 구현한다.

[예 7.8] <<CoordinatorProfileListener.java>>

package jeus.transaction.profile;

import jeus.transaction.info.TransactionInfo;

public interface CoordinatorProfileListener extends ProfileListener {

    public void beforePrepare(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Prepare( jeus.transaction.info.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beforeSetDecision(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SetDecision(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beforeCommit(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Commit(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beforeOnePhaseCommit(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OnePhaseCommit(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beforeRollback(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Rollback( jeus.transaction.info.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beforeDestroy(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Destroy(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beforeActiveTimeout( TransactionInfo info );

    public void afterActiveTimeout( TransactionInfo info );
}                    

[예 7.9] <<TransactionInfo.java>>

package jeus.transaction.info;

import javax.transaction.xa.Xid;

public interface TransactionInfo {

    public static final int JEUS_SPECIFIC_CURRENT_FORMAT_XID = 303077;
    public static final int UNSPECIFIED_TIME = -1;

    /**
    * 이 transaction의 xid를 반환한다. 반환된 XID는 JEUS 내부구현체의 XID이며 
    * serializable하다.
    * 차후 이 XID를 string으로 표현하고자 할 경우 XidToString.getXidHexString()을 
    * 이용하도록 한다.
    *
    * @return 해당 tx의 XID구현체
    */
    public Xid getXid();

    /**
    * transaction manager의 information을 string형태로 반환한다. 이 정보를 통해 해당 TX의 
    * TM server 정보(ip, port등)를 알수 있다.
    *
    * @return 해당 tx의 transaction manager의 information
    */
    public String getCoordinator();

    /**
    * 외부에서 시작된 TX의 경우 외부의 xid를 반환한다. 반환된 XID는 JEUS 내부구현체의 XID로 
    * 교체되며 serializable하다.
    *
    * @return 해당 tx의 XID구현체
    */
    public Xid getExternalXid();

    /**
    * active timeout설정을 반환한다. 단위는 ms이다.
    *
    * @return 해당 tx의 active timeout
    */
    public long getTimeout();

    /**
    * TX가 시작되고 얼마나 경과했는지에 대한 시간을 반환한다. 단위는 ms이다.
    *
    * @return 해당 tx의 tx의 경과 시간
    */
    public long getElapseSinceBegin();

    /**
    * TX의 상태를 string형태로 반환한다.
    *
    * @return 해당 tx의 string status값
    */
    public String getStatus();

    /**
    * TX에 enlist된 XAResource들을 String형태로 반환한다.
    *
    * @return 해당 tx에 enlist된 XAResource의 정보들
    */
    public String[] getXaResources();

    /**
    * TX을 시작한 thread를 return한다.
    * TX을 전파받은 곳에서는 이 정보를 얻을 수 없다.
    *
    * @return 해당 tx을 시작한 thread
    */

    public Thread getBeginThread();
}           

구현한 리스너를 시스템 프로퍼티로 지정한다. 여러 개의 리스너 클래스들을 공백, 세미콜론(;) 또는 콤마(,)을 separator로 하여 지정할 수 있다.

-Djeus.tm.profile.classes="test.profile.MyCoordinatorListener1,test.profile.MyCoordinatorListener2"

7.7. IP 대역이 다른 서버 간에 트랜잭션 통신 문제

JEUS 트랜잭션 매니저 간에 통신을 할 경우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하지만 이 경우 NAT 환경 안에 있는 JEUS 트랜잭션 매니저와 외부 환경에 있는 JEUS 트랜잭션 매니저가 통신할 때 서로 간의 IP 대역이 맞지 않아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가 생긴다.

Real IP를 Virtual IP로 매핑하는 프로퍼티를 지정해서 해결할 수 있다. JEUS_HOME/templates/nat.properties.template을 참고하여 IP 매핑 프로퍼티 파일을 생성해서 다음과 같이 시스템 프로퍼티로 지정한다.

-Djeus.tm.net.address-mapping-properties=<full path of properties file>